1. 늘봄은 유상(선택) + 무상(맞춤형, 돌봄) 이 있음.
2. 강사유형(내부, 외부), 기관, 업체위탁 -> 운영위원회 통과해서 운영할 수 있다.
2-1. 교재는 자체 개발이 원칙이나 시중교재 사용가능(but 운영위원회 심의 필요)
3. 단위학교는 학생의 출결관리, 생활, 안전지도, 급 간식 계획등 학생 관리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3-1. 지원센터와 단위학교는 늘봄실무인력 지원방안을 마련해야한다.
3-2. 자연 재해, 시설 공사 등으로 정상적 늘봄학교 운영이 어려우면, 휴강을 결정할 수 있다. -> 학부모에게 사전 안내하고 안전이 확보되도록 노력한다.
4. 수요조사
1)수요조사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2)참여 수요조사 시기는 신학기 시작 전을 원칙으로 한다. (but 학교 사정에 따라 여름방학 및 겨울 방학 시작전 등 학교 사정에 따라 가능)/ 단 1학년 신입생은 신입생 예비소집일에 한다.
상황에 따라 1차 - 기초조사, 2차 - 본조사로 구분/통합하여 실시가능하다.
3) 수요조사전 학생, 학부모 대상 홍보 안내 자료등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4) 수요조사결과 대기수요가 발생한다면, 방과후 센터, 지역돌봄과 연계하여 대기수요해소를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5. 운영계획 수립
수요에 맞게 프로그램을 편성하고
공간, 시설, 인력, 예산, 안전관리, 운영 평가, 홍보 등이 운영계획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한다.
확정된 늘봄과정을 학생. 학부모에게 누리집, 가정통신문 등으로 안내하고
참여 프로그램 현황을 가정통신문, 문자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6. 늘봄학교의 운영과 수익자 경비 부담사항 및 예산이 포함되 늘봄학교 운영계획을 심의한다.
소위원회를 설치하거나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다.
7. 늘봄과정은 1학기, 여름방학, 2학기, 겨울방학으로 구분하여 운영할 수 있다.
운영기간은 학교가 자율이나, 수요가 있는경우 연중 운영한다.
연 1회 이상의 학부모 대상 늘봄학교 공개의 날을 운영하여야 한다.
학기별 또는 학년도 별로 늘봄과정 운영 전반에 대한 학생, 학부모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다음학기나 다음학년도에 반영한다.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