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를 어느정도 하다보면 연봉이 4600이 넘게된다. 많다면 많고, 적다면 적다. 더 많이 받는 직업도 있고 적게 받는 직업도 있고. 나도 아직 가보지 못한 4600의 기록이지만 가끔 주변에 보면 4600넘어서 세금폭탄 맞았다는 이야기를 공연히 듣곤 한다. 뭐랄까... 흠... 생각보다 소득과 세금은 그렇지 않은데 말이다. 위의 표를 살펴보자 사람들은 이렇게 생각할 것이다. 아 난 연봉이 5천이니까 24%가 세금이구나!! 5천만원 X 24%니까 세금만 천만원이 넘네 헉 4599만원이면 좋겠다 ㅜㅜ 15%네................. 이것은 완전히 틀린 생각이다. 위의 표를 자세히 본다면 알수 있지만 연봉이 5천만원인 경우에 0만원에서 1200만원 까지 1200만원은 6%, 1200만원에서 4600만원..
교사 재테크 검색 결과
결론. 신용카드를 써야한다. ps. 아래에 체크카드라고 쓰여있는 것은 현금영수증을 포함하는 의미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래는 구구절절한 설명. 마지막으로 하나만 쓰고 자려고함 어떤 친구의 말을 들었다. 난 연말정산을 잘 받으려고 체크카드를 쓴다........................... 그말듣자마자 집어치우라고 욕하고 싶었지만 차근차근 알려주지는 않고 나중에 따로 알려준다고만 했는데 걔가 물어보지 않아서 나혼자 여기에 풀고 오늘은 자려고함. 소득공제를 많이 받으려고 체크카드를 쓴다는 말은 사실 반은 맞고 반은 틀린말이다. 내가 생각하기엔 다 틀렸다고 하고 싶은데 약간 이득 보는 사람이 있을 것 같기도 해서 반은 맞다고 치자. 일반적으로 체크카드는 신용카드의 절반정도 혜택이 있다(둘다 좋은 카드의 경..
육아휴직중인데 출산휴가를 쓸 수 있을까요? 된다. 육아휴직중에도 출산휴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관리자와 잘 이야기하면 출산예정일로부터 쓰는것이 아니라 조기출산(-45일까지)도 가능하다. 그 사이에 명절이 걸려있으면 땡큐~ 성과급도 잘맞으면 3개월치 B등급이 나올테니 360만원에 1/4인 90만원가량 나올 것이다. 잘 찾아보고 잘 선택해라 연말정산까지 잘챙기도록 나오면 최고 효자. -> 성과급 부분은 수정해야한다 성과급은 안나온다. 직접 경험했고 공문확인했음.(특별휴가등은 성과급 지급대상에서 제외)
출산휴가, 육아휴직 잘 쓰는법 제목을 적어놓고나니 좀 웃긴다. 육아휴직을 잘 쓰는법이라니 낄낄 일반 사기업에서는 상상할수 없는 일이다. 내가 육아휴직을 선택해서 유리하게 쓰려고 고민하는 일은 말이다.(우리아빠 피셜) 내가 생각해도 내가 사장이라면 최대한 불리하게 육아휴직을 쓰도록 권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공무원은 말그대로 국가가 월급을 주기에 아끼는 법이 없다. 법대로 줄뿐이다. 자 생각해보자. 출산휴가, 육아휴직은 어떻게 써야 나에게 최대한 이득이 될까? 음... 일단 우리에게 있는 유도리는 출산휴가이다. 출산휴가는 출생일 기준으로 후에 45일 이상을 확보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니까 출산예정일이 3월 1일이라면 1월 15일부터 출산휴가를 들어갈 수 있다. 이것을 바탕으로 약간 유리하게 자신의 출산일을 조..
유투브나 인터넷을 아무리 찾아봐도 교사들의 재테크에 대한 건 빈약해서 일단 블로그로 좀 정리를 해보려고함 타겟은 철저히 교사. 특히 부부교사이다.(내가 그렇기 때문에 내가 잘알 수 있을듯) 교사들은 왜 재테크를 하려고 할까? 친구들을보면 한푼 두푼 아끼는 것에 관심이 많다. 주식을 하고, 어떤 카드를 쓸지 고민하며, 연말정산에 대해서 고민한다. 사실 아무 관심없는 부류도 많다. 그러라고 공무원 하는 것이지만.. 공무원의 특성상 연봉과 기대수입이 정해져 있기때문에 여기서 어떻게 하면 조금이나마 더 나은, 손쉬운, 아끼지 않는 생활을 할까 고민하고 있는듯 하다. 내가 아는 지식들을 하나하나 풀것이다. 내가 시행착오했던걸 겪질않길 바라며.
기저귀 값을 준다는 소문을 들었다.(3달에 20만원씩, 인터넷에서도 사용가능함) 출산 +60일 이내에 신청하면 출산시부터 소급해서 주고 그후에 신청하면 그후부터 주는걸로. 24개월까지 준다는데 중요한건 맞벌이 교사의 경우에 택도 없다. 중위소득 80%까지 준다는데 중위소득 80%의 소득은 부부합산 세전 3,799,000원이다. 하지만 여기에 약간의 팁이 있으니 육아휴직으로 잡혀있으면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기 때문에 1인 소득으로 잡혀 운이 좋으면 379만원안에 걸리수도 있다. 다시 정리해보면 출산휴가시에는 월급이 들어오니 해당되지는 않을 것 같고 육아휴직단계에 들어서서 신청하면 될듯한데 난 세전이 382만원인가? 그래서 300원차이로 소득이 넘는다(제길) 주민센터, 보건소, 복지로에서 신청가능하지만 와이프..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