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뭐있나
시원하게 까보자
급여지급년월 2018 년 03 월 | |||||||||||||||
[초등학교] [특정직 / / 교사 / 17호봉 / 7 년] |
재직(타시도파견(출)) | ||||||||||||||
공무원 구분 |
행정부국가공무원 | 급여관리 구분 |
호봉제 | 급여직종 구분 |
국공립교원 | 최초 임용일 |
2012.09.01 | ||||||||
기관명 | 급여관리 기관 |
직위 | 교사(초등) | 현직급 임용일 |
2012.09.01 | ||||||||||
보직구분 | 담임교사 | 담당과목 | 교원구분 | 교사(초등학급담임) | 현직위 임용일 |
2012.09.01 | |||||||||
[세부내역] | |||||||||||||||
급여내역 | 세금내역 | 공제내역 | |||||||||||||
본봉 | 2,598,900 | 소득세 | 105,540 | 일반기여금 | 314,910 | ||||||||||
정근수당가산금 | 50,000 | 주민세 | 10,550 | 건강보험 | 119,440 | ||||||||||
정액급식비 | 130,000 | 노인장기요양보험 | 8,810 | ||||||||||||
교직수당 | 250,000 | 교직원공제회비 | 120,000 | ||||||||||||
교직수당(가산금4) | 0 | ||||||||||||||
가족수당(배우자) | 40,000 | ||||||||||||||
가족수당(자녀) | 20,000 | ||||||||||||||
시간외근무수당(정액분) | 28,410 | ||||||||||||||
교원연구비(유.초등5년이상) | 0 | ||||||||||||||
급여총액 | 3,117,310 | 세금총액 | 116,090 | 공제총액 | 563,160 | ||||||||||
실수령액 | 2,438,060 |
급여지급년월 2018 년 04 월 | |||||||||||||||
[특정직 / / 교사 / 17호봉 / 7 년] | 재직(타시도파견(출)) | ||||||||||||||
공무원 구분 |
행정부국가공무원 | 급여관리 구분 |
호봉제 | 급여직종 구분 |
국공립교원 | 최초 임용일 |
|||||||||
기관명 | 급여관리 기관 |
직위 | 교사(초등) | 현직급 임용일 |
|||||||||||
보직구분 | 담당과목 | 교원구분 | 교사(초등학급담임) | 현직위 임용일 |
|||||||||||
[세부내역] | |||||||||||||||
급여내역 | 세금내역 | 공제내역 | |||||||||||||
본봉 | 2,598,900 | 소득세 | 100,650 | 일반기여금 | 314,910 | ||||||||||
정근수당가산금 | 50,000 | 주민세 | 10,060 | 건강보험 | 124,960 | ||||||||||
정액급식비 | 130,000 | 건강보험연말정산 | 100,420 | ||||||||||||
교직수당 | 250,000 | 노인장기요양보험 | 9,220 | ||||||||||||
교직수당(가산금4) | 0 | 장기요양연말정산 | 6,580 | ||||||||||||
가족수당(배우자) | 40,000 | 교직원공제회비 | 120,000 | ||||||||||||
가족수당(자녀) | 20,000 | ||||||||||||||
교원연구비(유.초등5년이상) | 0 | ||||||||||||||
급여총액 | 3,088,900 | 세금총액 | 110,710 | 공제총액 | 676,090 | ||||||||||
실수령액 | 2,302,100 |
사실 원래 어떻게 있는지 정확하게는 잘모르는데
교직수당(가산금4)랑
교원연구비가 0으로 찍히는걸로봐서 그게 빠지는듯하다
그리고 시간외 정액분이 아마 10만원 가까이 될꺼고
그리고, 담임수당 13만원이 빠져서
내느낌엔 대략 30만원 조금 넘게 줄어든 느낌이다...
자세한건 개인 월급명세랑 비교해봐야겠지
약간 이상한건 3월에는 시간외 정액분이 있었는데 4월에는 없어졌다.
아마도.
월급은 17일에 나오니까 전달 17~다음달 16일 까지의 돈이 입금되는걸텐데
3월에는 2월 시간외 정액분이 나온것 같은느낌임.
교원대 파견시 월급 변화 오키?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