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검색 결과
1. 연간 운영계획을 수립하여 교육계획에 반영하고, 운영위 심의를 거쳐서 학사운영과 동시에 늘봄과정 운영단 심의를 거치면 차질이 발생하거나 천재지변 등 불가항력이면 심의를 안해도 되지만 관련 사항과 사유를 운영위원회와 관할청에 서면으로 보고해야함. 2. 저학년은 놀이 중심으로함12학년 영어 늘봄은 놀이 활동중심 음성언어 중심으로 적절한 시수를 운영한다주당 200분을 초과해서는 안됨(40분 x5) 3. 해당학교 + 타교도 됨. 맞춤형 및 선택형 돌봄은 20명 내외학기중. 방학중 아침 오후 저녁으로 구분하여 운영1차시는 40분(쉬는시간 확보)운영 시간표는 다양하게
1. 선택형 돌봄 프로그램 세출 예산집행 잔액을 이월하여 다른 사업으로 편성하여 사용 금지1) 선택형 돌봄 예산운영비 : 소모품, 교구, 강사비, 간식 및 급식, 안전, 수용비, 연수비(자산 취득, 인건비 편성 금지)인건비- 늘봄학교 전담사의 인건비 (도교육청),- 늘봄학교 전담사의 대체 인건비 및 시간외-> 학교회계,- 늘봄학교 전담사의 연수비 -> 학교회계※ 프로그램 강사비, 급.간식비는 수익자 가능 선택형 오후 돌봄10명이하 1200만17이하 1300만18이상 1400만-> 인건비 편성 불가, 자산 취득 불가선택형 교육 연계형(기존방과후 연계형) 프로그램은 교육기부임으로4시간 미만 10,000원/이상 20,000원선택형 돌봄 교원이 대체할 경우 60분당 15,000원우선순위 1. 대체인력, 2. 전..
1. 강사는 교육부+교육청 강사 인력풀/공고/평가 선정한 외부 강사와 위수탁계약함을 원칙으로하고2. 하지만 희망하는 교원이 있다면 강사로 참여가능하다.3. 중앙, 시도교육청 외부강사 매칭지원사업 일환의 강사 인력풀 또는 교직원은 공고 절차를 갈음할 수 있다.4. 학년단위로 하며, 학생/학부모의 평가결과가 우수한경우(80점이상) 계약기간을 최대2년까지 늘릴 수 있다.(초과하면안됨 다시 재공고)5. 외부강사, 위촉직 봉사자는 성범죄경력 및 아동학대관련범죄 전력을 조회해야한다.+ 결핵검진 결과를 확인하여야 한다.
1. 늘봄은 유상(선택) + 무상(맞춤형, 돌봄) 이 있음.2. 강사유형(내부, 외부), 기관, 업체위탁 -> 운영위원회 통과해서 운영할 수 있다.2-1. 교재는 자체 개발이 원칙이나 시중교재 사용가능(but 운영위원회 심의 필요) 3. 단위학교는 학생의 출결관리, 생활, 안전지도, 급 간식 계획등 학생 관리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3-1. 지원센터와 단위학교는 늘봄실무인력 지원방안을 마련해야한다.3-2. 자연 재해, 시설 공사 등으로 정상적 늘봄학교 운영이 어려우면, 휴강을 결정할 수 있다. -> 학부모에게 사전 안내하고 안전이 확보되도록 노력한다. 4. 수요조사1)수요조사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2)참여 수요조사 시기는 신학기 시작 전을 원칙으로 한다. (but 학교 사정에 따라 여름방학 및 겨울 방학 ..
1. 겸임발령이면 교감선생님들끼리 상의해서 무슨요일에 출근할지 논의해달라고 부탁2. 늘봄에 대한 기본적인 시스템 이해선택형 교육 , 선택형 돌봄, 맞춤형 세가지 프로그램의 종류가 있음(말을 맨날 바꾸는데 정말 노이해)2-1 선택형 교육은 흔히 말하는 방과후(1~6학년). 자부담 원칙교과랑 비슷한거(독서논술, 영어회화) + 교과랑 관련없는거(체육, 음악 등등) - 결론은 아무거나 다됨 2-2 선택형 돌봄은 그냥 돌봄. 늘봄전담사가 아이들을 케어하면서 자기만의 프로그램을 함. 솔직히 뭘하는진 모르겠음. 교육과정 짜길 하나?- 늘봄 전용교실이 있고 늘봄 겸용교실이 있음. 늘봄겸용교실이 있을까? 과학실 등 2-3 맞춤형은 '24년 1학년, '25년 1~2학년으로 확대대는 국가가 밀어주는 무상 방과후매일 2차시 ..
최근댓글